암모니아성질소 |
분뇨 또는 하수 등에 의한 오염을 의미 |
암모니아성질소 자체로는 무해하나 질산성질소로 변할 경우 청색증 유발가능(분뇨성분 및 대장균의 수질오염을 측정하는 지표) |
질산성질소 |
무기비료 사용, 부패한 동식물, 생활하수, 공장폐수에서 발생 |
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6개월 미만의 유아들은 유아청색증을 일으킬수 있으며, 치료하여야 함 |
불소 |
자연상태의 토양, 암석에 존재함 |
기준초과된 물을 마실 경우 9세이하의 아동들에게 반상치를 유발할 수 있으며, 특히 수년동안4mg/l이상 마신 사람의 일부가 뼈질환을 일으킬 수 있음 |
납 |
인쇄ㆍ도금공장폐수급배수관 |
가용성 납은 인체에 유해함. 급성중독으로 소화기관, 신경계통의 심한 장해 유발, 만성중독으로 정신착란 신근마비, 감각장해 등을 유발 |
비소 |
농약 살충제 등에서 환경중으로 배출 |
가용성 납은 인체에 유해함. 급성중독으로 소화기관, 신경계통의 심한 장해 유발, 만성중독으로 정신착란 신근마비, 감각장해 등을 유발 |
셀레늄 |
필수 영양소로 토양중 미량 존재. 금속제련소의 공장폐수에도 포함 |
자체로는 독성이 낮으나 화합물의 독성이 강하다. 급성중독으로는 격통, 구토, 경련을 일으킴 |
수은 |
수은제조공장, 병원, 수은광산 등에서 환경으로 배출 |
급성독성보다 만성독성이 더 중요하며 언어장애, 지각장애, 신경쇠약, 난청 등이 있으며 미나마따병이 있다. |
시안 |
자연수에는 존재하지 않으며, 광업 및 산업폐수로부터 오염 |
수년동안 기준초과된 물을 마시는 사람의 일부가 뇌손상이나 갑상선에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|
크롬 |
천연에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, 특수강 분야에 주로 이용 |
3가크롬은 생체필수 원소이나 6가 크롬은 독성이 있음. 급성중독은 장염, 구토 등이 나타나며 만성중독은 황달을 거쳐 간염으로 나타남. |
카드뮴 |
도금, 충전식 건전지, TV브라운관 등에서 환경으로 배출 |
급성중독으로는 위장장해, 만성중독으로는 흑변, 장염, 폐, 골육 등의 장애를 일으키며 이따이이따이 병이 있음. |
보론 |
폐수내 중금속 조절제로 사용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소화기등에 영향을 경험할 수 있음(2000.7.1부터 수질기준에 규정된 항목) |
페놀 |
천연수에는 존재하지 않으며, 약품합성공업, 아스팔트포장도로 등에서 환경으로 배출 |
기준을 초과할 경우 이취미가 발생되며 일부사람들이 식욕부진이 나타날 수 있음 |
다이아지논 |
벼농사의 살충제 농약으로 사용되어 환경으로 배출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중추신경계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|
파라티온 |
농작물 살충제로 환경에 배충 ,* DDT, BHC 등에 이어 등장한 강력한 살충제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중추신경계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|
페니트로티온 |
농작물의 살충제로 사용후 환경으로 배출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중추신경계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|
카바릴 |
농장물에서 살충제로 사용 후 환경으로 배출 |
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이 설사 및 위경련을 경험 할 수 있음 |
1,1,1-트리클로로에탄 |
유기염소화합물 생산시 중간 생성물질로서 산업폐수로 발생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은 간, 신경계또는 순환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|
테트라클로로에틸렌 |
유해화학물질로서 무색의 액체이며 금속 세정제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|
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간의 문제를경험할 수 있음 |
트리클로로에틸렌 |
금속세정제, 드라이크리닝 용제. 소화제 등으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|
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간의 문제를경험할 수 있음 |
디클로로메탄 |
산업폐수에서 발생 |
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간의 문제를경험할 수 있음 |
벤젠 |
염료 도료, 농약, 세척제, 합성세제 등의 유기용제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|
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이 빈혈이나 혈소판 증가를 경험할 수 있음 |
톨루엔 |
석유화학제품으로서 염료, 향료, 합성섬유 등에 주로사용후 환경으로 배출 |
수년동안 기준 초과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은 신경계, 신장 또는 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|
에틸벤젠 |
유해화합물질로서 물에 잘 녹지 않으며, 산업폐수에서 발생 |
수년동안 기준 초과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이 현기증 및 피부자극을경험할 수 있음 |
크실렌 |
유해화학물질로서 알콜 등에 잘 녹으며, 물에 잘 녹지 않음 |
수년동안 기준 초과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이 신경계의 손상을 경험할 수 있음 |
1,1-디클로로에틸렌 |
합성화학 중간 물질로서 주용도는 세척제, 접착제 등에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|
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|
사염화탄소 |
냉각제, 세척제. 금속제련 용제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|
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|
1,2-디브로모-3-클로로프로판 |
콩 재배시 등에 토양훈증 소독제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위, 신장,간장 등의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|
1,4-다이옥산 |
산업용 용매 또는 유기용매로 산업공정 부산물로 발생 |
단시간 노출시 눈,코,목의 염증유발, 다량노출시 신장 및 신경계 손상초래 우려 및 발암가능성 있음 |
유리잔류염소 / 총트리할로메탄류 |
원수중의 유기물과 정수처리시 소독제로 사용하는 염소와 반응하여 생성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의 경우 암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음 |
클로탈하이드레이트 |
산업폐수의 유입 또는 수돗물의 염소처리과정중 생성됨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호흡기관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|
디브로모아세토니트릴 |
수돗물의 염소처리과정중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생성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호흡기관 및 피부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|
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 |
수돗물의 염소처리과정중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생성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호흡기관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|
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|
수돗물의 염소처리과정중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생성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소화기,비뇨기계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|
할로아세틱에시드 |
수돗물의 염소처리과정중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생성 |
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이 간종양과 신경계통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|
포름알데히드 |
숲의 화재, 동물의 찌꺼기, 미생물의 대사로 인한 생성물, 해수의 광화학 반응을 통해 발생 |
음식물을 통해 섭취되어 구강 내, 목구멍, 장내에서 염증을 유발 시킬 수 있으며, 공기를 통해 흡입시 폐에 부종을 일으킬 수 있음 |